-
2022.08.09 스프링에 대해 새롭게 알게된 사실공부공부 2022. 8. 9. 23:20
1. 스프링 비즈니스 로직은 반드시 service에서 처리하는 것?
-> 아님. Domain에서 처리해줘야 함
-> service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트랜잭션 스크립트라 하는데, 객체지향이라기 보다는 단순히 데이터를 요리조리 가공하는 것 처럼 보인다.
대신 Domain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service는 트랜잭션과 도메인 간의 순서만 보장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.
2. Service에서 Bean을 주입하는 방식 중 (@Autowired, setter, 생성자) 생성자 방식을 제일 선호한다.
그럼 이 생성자는 어디있느냐?
@RequiredArgsConstructor
에 존재한다.
'공부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telij] org.junit.After가 다운로드 되지 않을때 (0) 2022.08.11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; nested exception is java.lang.IllegalStateException: Ambiguous mapping (0) 2022.08.08 error: invalid source release:17 (0) 2022.08.07 2022.08.02의 공부 : 그래프 (0) 2022.08.02 유튜브_엘리님이 알려주신 성장하는 공부방법 (0) 2022.08.02